눈의 떨림은 흔하게 경험하는 증상입니다.
수면부족이나, 야간 작업때나, 피곤한 경우 눈떨림은 예사로운 일일 것입니다.
그러나 눈떨림이 반복되거나 떨림이 뺨부위나 입가까지 번진다면 초기에 진단과 치료를 받으셔야합니다.
단순한 눈떨림은 피로, 스트레스, 카페인 등을 잘 제어하고 수면을 잘 취하시면 회복되는 경향이 있으나, 그렇지 않을 경우 면밀하게 다른 질환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안면부의 떨림이나 연축에 대한 감별진단에서 다양한 용어들이 서로 혼용되어 사둉되고 있어 혼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단순 눈떨림은 안검근파동(eyelid myokynia)으로 눈가 근육의 미세한 떨림입니다. 안건근 파동인 경우는 휴식과 수면, 카페인, 흡연 자제 등의 적극적인 생활관리가 우선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휴식과 안정에도 불구하고 눈떨림을 넘어 증상이 진행되어 눈을 꽉 감거나 눈을 찡긋하게 될 정도인 경우는 안검연축(blepharospasm)라고 진단할 수 있습니다.
안검연축은 근육긴장이상증(dystonia) 질환 중 하나로 근육 수축의 긴장도(tone)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이상이 생겨 의지와 상관없이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하거나, 불수의적으로 수축하고 통증까지 유발하는 질병입니다.
아직 정확하지는 않지 만 기저핵에서 근육으로 전달되는 억제성신호인 GABA 신호전달체계에 이상이 생긴 뇌질환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한편 눈가쪽의 떨림이 뺨을 지나 입가 더 진행되어 목근육까지 경련, 연축이 일어나는 질환을 반측성안면경련(hemifacial spasm)이라고 진단할 수 있습니다.
뇌종양, 뇌혈관기형 등에 의한 이차성 원인을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 신경근 출입부(root exit zone)에서의 혈관에 의한 안면신경 압박이 그 원인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압박으로인하여 안면신경의 수초를 손상되고, 돌발적인 전기 신호를 유발하여 안면근이 불수의적으로 수축하게 한다는 것이 반측성안면경련의 메카니즘입니다.
안검근파동은 기본적으로 피로를 회복하고 기력이 회복되면 해결될 수 있는 신경전도상의 가벼운 장애로 보여집니다.
한편 안검연축은 보톡스치료로 잠정적으로 눈가 근육을 마비시켜 안검연축을 멎게하며 주기적으로 치료를 받아야합니다.
반측성 안면경련의 경우, 가장 확실한 치료라고 알려진 것은 미세혈관감압술입니다. 신경과 혈관사이에 의료용 솜인 테플론을 끼워넣는 수술적 치료입니다.
뇌신경질환 치료 유명한의원에서는 안면경련 치료에 선두에 있다고 자부합니다.
안면신경복구, 혈관의 퇴행성변화를 제어하여 혈관탄력을 회복하여 안면신경의 비정상적인 전도를 억제 안정화를 목표로 치료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안면신경 안정화와 회복을 위한 원내조제한약, 추나치료, 약침치료, 매선치료를 환자의 필요에 따라 처방, 시술하고 있습니다.
떨림없는 얼굴, 안정된 표정, 행복한 웃음의 그날까지 본원은 환자의 흔들임을 붙잡아 드릴 치료에 연구와 치료에 정진하겠습니다.